직장인의 가장 큰 관심사는 아무래도 연봉이 아닐까 생각한다. 다음은 엔지니어링 상위 회사들의 연봉 테이블이다. 엔지니어링 업계에 관심이 있다면 참고해보면 좋을 것 같다. 연봉 자료는 엔지니어링 종합정보시스템에서 다운받은 자료이므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2022년 엔지니어링(설계사) 연봉 테이블(야근수당 제외)

평균연봉의 경우, 사원은 38백만원, 대리 44백만원, 과장 51백만원, 차장 56백만원, 부장 61백만 원임을 알 수가 있다.

 

업계 1위인 도화의 연봉이 모든 직급에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건화의 연봉이 뒤따르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도화와 건화는 야근비를 포함한 포괄임금제를 택하고 있다. 즉 야근해도 야근 수당이 없다.

 

업계 특성상 야근이 많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야근수당을 포함한 연봉 비교가 더 합리적일 수 있다. 다음은 야근수당을 포함한 연봉이다.

 

2022년 엔지니어링(설계사) 연봉 테이블(야근수당 포함)

평균연봉의 경우, 사원은 45백만원, 대리 52백만원, 과장 59백만원, 차장 64백만원, 부장 69백만 원임을 알 수가 있다. 

 

야근수당을 제외한다면 도화와 건화의 연봉이 타사대비 높지만, 야근수당을 포함할 경우 유사한 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과장부터는 동명의 연봉이 도화를 역전했다.

 

 

 


야근수당을 포함한 엔지니어링 회사들의 평균 초봉은 45백만원으로 낮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부장 직급의 연봉이 약 7천만원대로 경력이 쌓일수록 상승 폭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두 조사방법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크린라인 조사와 코든라인 조사의 명확한 의미부터 이해해야 한다.

 

1. 스크린라인(Screen Line) 조사란?

스크린라인 조사란 단어 그대로 가상의 선(Screen Line)을 만들어 그 선을 통과하는 통행량을 조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송도신도시의 송도국제교를 예로 들어보자.

예시1 - 스크린라인(Screen Line) 조사

송도국제교 한 지점에 가상의 선(Screen Line)을 만들었고 이 가상의 선을 통해 송도신도시로 출입하는 통행량 조사는 스크린 라인 조사이다. 스크린 라인조사는 조사지점이 하나일 수도 있으며 아래의 예시처럼 조사지점이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예시2 - 스크린라인(Screen Line) 조사

위의 예시는 가상의 선을 길게 한 스크린라인 조사이다. 이 가상의 선을 통해 송도신도시로 유출입하는 통행량을 알기 위해서는 5개 다리의 통행량을 조사해야 한다. 위의 예시처럼 가상의 선(Screen Line)은 길게 만들 수도 짧게 만들 수도 있다.

 

2. 코든라인(Cordon Line) 조사란?

다른 말로는 폐쇄선 조사라고도 하며 여러 가상의 선을 통하여 대상 지역을 폐쇄하고 통행량을 조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수의 스크린라인(Screen Line)이 집합된 조사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코든라인(Corden Line) 조사

송도신도시를 다수의 가상의 선(Screen Line)을 통하여 폐쇄하였다. 이 가상의 선들을 통해 차량의 유출입이 가능한 도로는 8개가 있었고, 이 지점들의 통행량을 조사한다면 송도신도시 내외부를 통행하는 교통량의 조사가 가능하다. 대상지를 폐쇄하는 가상의 선을 긋고 내외부를 통행하는 교통량을 조사하는 방법이 코든라인(Cordon Line) 조사이다. 

 

3. 스크린라인(Screen Line)조사와 코든라인(Cordon Line)조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선정한 지점에서 교통량을 조사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이 두 조사방식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지만, 조사의 목적이 다소 다르다. 코든라인 조사는 선정한 대상지로의 유출입 통행량을 알기 위해 수행하지만 스크린라인 조사는 코든라인 조사결과를 보완하고 검증하기 위해 코든라인 외부에서 하는 조사를 말한다.

+ Recent posts